Computer Science/Data Structure

[자료구조] 트라이 (Trie) C++ 구현

은정 Rachel 2020. 9. 18. 19:12

트라이 (Trie)

우리가 여러 개의 문자열을 가지고 있을 때, 어떤 문자열이 그 문자열 중 하나인지 알아내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단순하게 일일히 비교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이러한 방법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최대 길이가 M인 문자열 N개의 집합에서 마찬가지로 최대 길이가 M인 문자열이 그 문자열의 집합에 포함되는지를 일일히 확인하면 최악의 경우 O(NM)의 비교 횟수가 필요하다.

이때, 문자열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탐색할 수 있는 자료구조가 트라이(Trie)다. Prefix tree, Digital search tree, Retrieval tree라고 부르기도 한다. 프레드킨이 Retrieval tree에서 "Trie"라는 이름을 붙였다.

트라이는 특정 문자열을 찾는 작업을 O(N)만에 해결할 수 있다. 그래서 주로 검색어 자동 완성, 사전에서 찾기, 문자열 검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각 노드에서 자식들에 대한 포인터들을 배열로 모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저장 공간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도 있다.



구조

기본적으로 K진 트리의 구조를 띠고 있다. 우리가 영어사전에서 "computer"라는 글자를 찾으려면 우선 제일 첫 글자인 c의 색인을 찾은 후, u, m, ... 순서대로 찾아갈 것이다. 이것을 논리적으로 컴퓨터에 적용한 구조가 바로 트라이 구조이다.

문자열의 목록이 A, to, tea, ted, ten, i, in, inn이라면 트라이는 다음과 같다.

루트 노드가 되는 가장 최상위 노드에는 어떠한 단어도 들어가지 않고, 루트 아래 노드부터 문자열의 접두사가 하나씩 나타나게 된다. 즉, teat -> te -> tea 순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모두 tea의 접두사이다. 즉, teate를 포함한다는 사실도 트라이에서 알 수 있게 된다.



구현

구현은 크게 문자열을 트라이에 삽입하는 Insert와 문자열의 값을 return 하는 Find로 나눌 수 있다. 아래는 알파벳 대문자를 기준으로 트라이를 구현하는 방법이다.


🍀 Trie Struct

Trie 자료구조에 대한 전체적인 코드는 아래와 같다.

struct Trie {
    bool finish; // 끝나는 지점을 표시해줌
    Trie* next[26]; // 26가지 알파벳에 대한 트라이

    // 생성자
    Trie() : finish(false) {
        memset(next, 0, sizeof(next));
    }

    // 소멸자
    ~Trie() {
        for (int i = 0; i < 26; i++)
            if (next[i])
                delete next[i];
    }

    // 트라이에 문자열 삽입
    void insert(const char* key) {
        if (*key == '\0')
            finish = true; // 문자열이 끝나는 지점일 경우 표시
        else {
            int curr = *key - 'A';
            if (next[curr] == NULL)
                next[curr] = new Trie(); // 탐색이 처음되는 지점일 경우 동적할당
            next[curr]->insert(key + 1); // 다음 문자 삽입
        }
    }

    // 트라이에서 문자열 찾기
    Trie* find(const char* key) {
        if (*key == '\0') return this; // 문자열이 끝나는 위치를 반환
        int curr = *key - 'A';
        if (next[curr] == NULL) return NULL; // 찾는 값이 존재하지 않음
        return next[curr]->find(key + 1); // 다음 문자를 탐색
    }
};

InsertFind 함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 Insert

void insert(const char* key) {
    if (*key == '\0') // 문자열 끝에 다다름
        finish = true;  
    else {
        int curr = *key - 'A';
        if (next[curr] == NULL) // 트리가 만들어져있지 않다면
            next[curr] = new Trie(); // 새로운 트리를 만든다.
        next[curr]->insert(key + 1);
    }
}

어떤 식으로 구현이 되는지 그림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가장 초기 루트 노드에는 아무런 값도, 다른 노드도 존재하지 않는다.

  2. ABC부터 트라이에 삽입해보자. 아직 아무런 문자도 삽입하지 않았으므로 가장 앞의 문자인 A부터 시작한다.

  3. 트라이는 현재 문자로 이루어진 노드가 존재한다면, 그 노드로 다음 문자열을 탐색한다.
    그러나 루트 노드에 아무런 노드가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노드를 할당받은 후, A를 가리키는 노드를 생성해준다.

    BC도 마찬가지로 노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성해준다.

  1. 그 다음 문자열을 탐색하려고 보니 문자열이 끝나서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제 삽입이 끝났기 때문에 끝난 문자열이라는 것을 표시해주기 위해서 C옆에 ★을 붙여둔다. (실제 코드에서는 finish로 표시했다.)

  2. 다음 ABCD를 삽입해보자. 이미 ABC를 삽입할 때 만들어 놓은 A, B, C 노드가 이미 존재한다. 이런 경우, 노드를 새로 생성하지 않고 해당 노드를 통해 다음 문자로 이동한다. 마지막 노드인 D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C의 자식 노드로 D를 생성해주고, 마찬가지로 문자열이 끝났으므로 끝났다는 표시를 해준다.

  3. 새로운 문자열인 BCG를 삽입해보자. 루트 노드에서 B로 가는 노드가 생성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B 노드가 생성될 것이다.

    그 다음 문자인 C로 넘어가보자. 그럼 의문이 들 수도 있다. 앞서 진행한 과정에서 A -> B -> C로 가는 경로가 존재하는데 똑같은 거 아닐까?

    그러나 우리가 지금 필요한 것은 루트에서 A, 그리고 B, C 순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루트에서 바로 B, 그리고 C로 이동하는 경로이다. 따라서, B 노드에도 C 노드가 생성된다.

  4. 그 후, C 노드에서 G 노드로 연결된 노드가 없으므로, 노드를 생성해준 뒤 끝난 표시를 해준다.

  1. 이후, 순차적으로 ZYX, BDE를 넣어보면 아래처럼 트라이가 구성된다.


🍀 Find

bool find(const char* key) {
    if (*key == '\0') // 문자열 끝에 다다름
        return false;
    if (finish) // 문자열이 끝남
        return true;
    int curr = *key - 'A';
    return next[curr]->find(key + 1);
}

위의 트리에서 ABC라는 문자가 잘 들어갔는지 확인해보자.

  1. 첫번째 문자인 A가 루트 노드에서 갈 수 있는지 확인한다. A 문자로 가는 노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다음으로 넘어간다.
  2. A 노드에서 그 다음 문자인 B를 확인한다. B 노드가 존재하고, 마찬가지로 B에서 C까지도 갈 수 있기 때문에 넘어갈 수 있다.
  3. 우리가 찾으려고 하는 문자열은 ABC이므로 C까지 확인하면 문자열이 끝난 상황이다. 문자열이 끝났다면, 현재 노드(마지막 노드)의 삽입할 때 문자열의 끝을 표시했던 것을 확인한다. C에 ★이 쳐져있기 때문에 ABC 문자열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에는 BTS를 확인해보자.

  1. 루트에서 첫번째 문자인 B로 가는 경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다음으로 넘어간다.
  2. 그러나 B에서 이동할 수 있는 노드 중에 T는 존재하지 않는다.
  3. 해당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트라이에 삽입되지 않은 문자열이라는 사실을 바로 알 수 있다.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앞서 말했듯이, 트라이는 효율적인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대신,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것이 치명적인 단점이다.


시간 복잡도

문자열의 최대 길이가 M일 때, FindInsert 모두 문자열의 길이(트리의 최대 높이) 내로 끝나기 때문에 O(M)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간 복잡도

위의 시간 복잡도 O(M)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음 문자를 가리키는 노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숫자에 대해 트라이를 만들어야 한다면 0~9, 총 10개의 포인터 배열이 있어야하며, 알파벳 소문자에 대해 트라이를 만든다면 a~z인 총 26개의 포인터 배열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최종 메모리는 O(포인터의 크기 * 포인터 배열의 개수 * 트라이에 존재하는 총 노드의 개수)가 된다.


[참고] Radix tree (Compact prefix tree)

트라이의 치명적인 단점인 공간에 대한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아래 그림처럼 자식 노드가 하나밖에 없는 경우, 부모 노드에 모두 합치는 방식으로 필요한 메모리를 줄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따로 구현하는 방식은 설명하지 않는다.

img



추천 문제

[Gold 4] 전화번호 목록 / 생태학

[Gold 2] 개미굴

[Platinum 5] Prefix와 Suffix

[Platinum 3] 별다줄 / 휴대폰 자판 / 용량 부족

[Platinum 2] 아름다운 이름 / 문자열 집합 판별



Reference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배우는 알고리즘 문제해결전략 2 (2018, 구종만 저) a.k.a 종만북

Wikipedia - Trie

Crocus - 트라이(Trie) 자료구조

얍문's Coding World - [ 자료구조 트라이(TRIE) ] 개념과 구현방법 (C++)

TWpower's Tech Blog - [Algorithm] 트라이(Trie) 개념과 기본 문제